2025.05.02(금)
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게임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포토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23] 왜 9.15m일까
축구에는 유난히 9.15m라는 숫자로 표시된 규칙이 많다. 킥오프, 프리킥, 코너킥, 페널티킥 등 축구의 모든 킥에서 상대 선수는 볼로부터 9.15m 떨어져 있어야 한다. 페널티 라인 밖의 아크 라인도 페널티 마크로부터 9.15m다. 골프에서 108이라는 숫자를 많이 쓰는 것처럼 말이다. 이는 우연히 만들어진 숫자는 아니다. 어떤 의도적인 목적이 있어서 특정 숫자를 많이 쓴 것이다.9.15m는 축구의 발상지 영국에서 쓰는 야드 거리 개념으로는 10야드에 해당한다. 소수점이 아닌 정수값으로 환산된다. 축구가 영국에서부터 전 세계로 보급되면서 야드보다는 미터를 쓰는 나라들이 더 많아 9.15m라는 숫자가 비록 소수점이기는 하지만 10야드보다 훨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22] 바나나킥(Banana Kick)이라는 말은 어떻게 생겼나
바나나킥(Banana Kick)은 바나나 모양처럼 공이 휘어서 날아가도록 차는 것을 뜻한다. 먹는 과일인 바나나와 킥의 합성어로 만들어진 말이다. 영어 용어사전에 따르면 바나나라는 단어는 손가락을 뜻하는 아랍어 ‘바난(Banan)’에서 유래했다. 과일 바나나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5세기 산스크리트어에서 처음 나온다. 서양에선 바나나를 현명한 사람들이 먹는 과일이라고 여긴다. 인간에게 유용하게 쓰이는 과일이기 때문이다. 1950년대 브라질 포워드 디디가 현재의 상태와 비슷한 바나나킥을 먼저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에서 펠레와 함께 역대 최고 공격수로 평가받는 가린샤는 월드컵에서 바나나킥으로 처음 골을 넣은 선수로 기록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21] 왜 프리킥(Free Kick)은 직접(Direct) 프리킥과 간접(Indirect) 프리킥으로 나눌까
프리킥(Free Kick)은 경기를 다시 시작하는 방법이다. 전후반, 득점이 났을 때 경기장 중앙의 원표시 마크에 볼을 놓고 시작하는 킥오프(Kick Off)와는 달리 경기 규칙을 위반하는 파울(Foul)이 일어나면 적용한다. 말 그대로 자유스럽게 볼을 찬다는 의미이다. 상대 선수의 제지를 받지 않고 킥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뜻이다. 파울 종류에 따라 직접 프리킥과 간접 프리킥으로 구분한다. 축구를 비롯 미식축구, 럭비 등에서 적용하고 있는 규칙이다. 프리킥은 원래 1863년 축구 규칙을 처음으로 제정한 영국축구협회(FA0가 탄생하기 이전 19세기부터 축구와 럭비 규칙이 같이 사용됐을 때부터 적용됐다. 당시는 손과 발을 쓸 수 있었는데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20] 왜 킥오프(Kick Off)라고 말할까
킥오프(Kick Off)는 경기 시작을 알리는 말이다. 전후반전을 시작할 때나 득점이 일어날 때 경기장 중앙의 원 표시 마크에 볼을 놓고 주심이 휘슬이 올리면 볼을 차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경기를 시작할 때 동전 던지기에서 이긴 팀이 골문을 먼저 선택하고, 진 팀은 킥오프를 맡는다. 후반전에서는 반대로 한다. 득점이 있으면 득점을 당한 팀이 매번 킥오프를 한다. 킥오프는 발로 찬다는 의미인 ‘Kick’와 떨어진 상태라는 의미인 ‘Off’의 합성어이다. 영어어원사전에 따르면 1857년 경기에서 첫 킥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하다가 1875년부터 현재와 같은 의미로 쓰이게됐다. 축구 발상지 영국에서 초창기 경기 시작을 하는 방법은 지금 방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9] 왜 토탈 풋볼(Total Football)이라 말할까
‘토탈 풋볼(Total Football)’은 우리나라에서는 ‘토탈 축구’라고 말한다. 전체적으로 축구를 한다는 의미이다. 이 말은 축구 전술의 진화 역사를 잘 이해하지 못하면 알기가 쉽지 않은 단어이다. 토탈이라는 말을 전체라는 말로 번역해 쓰지 않고 영어 발음을 그대로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어 어원 사전을 보면 토탈은 전체 또는 전체의 양을 뜻한다. 숫자를 추가하거나 무언가를 파괴한다는 의미가 포함됐다. 라틴어 ‘Totalis’에서 유래돼 고대 프랑스어를 거쳐 영어로 들어오게 된 말이다. 보통 토탈이라는 단어는 모든 것을 아우른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1990년 개봉한 아놀드 슈왈츠네커가 주연한 할리우드 영화 ‘토탈 리콜(Re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8] 왜 축구에서 여러 다양한 포메이션(Formation)이 있을까
현대 축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여러 포메이션(Formation)을 운영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해서 정해진 포메이션이라는 것은 없다고 봐야한다. 상황마다 경기를 풀어가는 방법이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경기를 유리하기 이끌기 위해선 공격적인 전략을 써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황에 맞는 포메이션을 써야하는 것이다. 포메이션은 영어 의미대로 짜여진 전형이라는 말이다. 포메이션은 모양을 뜻하는 ‘Form’이 어근으로 라틴어 ‘Forma’에서 유래해 같은 철자의 고대 프랑스어를 거쳐 만들어진 말이다. 축구에서 원래 포메이션이라는 것은 없었다. 잉글랜드에서 처음 만들어진 축구 초창기에는 대부분 선수들이 공격을 했기 때문에 포메이션이 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7] 윙백(Wing Back)과 풀백(Full Back)은 어떻게 다를까
현대 축구에서 수비수는 중앙에서 활동하는 센터백(Center Back)과 측면에서 활동하는 윙백(Wing Back)과 풀백(Full Back)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윙백과 풀백은 비슷한 수비 위치에서 활동하지만 포메이션에 따라 역할이 좀 다르다. 쉽게 말하자면 윙백은 공격에 가담하는 비율이 더 많은 반면 풀백은 수비에 더 치중한다고 보면 된다. 윙백은 측면 공격수라는 의미인 윙어(Winger)와 풀백의 합성어이다. 말 그대로 측면 공격과 수비 두 가지의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윙백은 원래 미식축구에서 라인플레이를 노리는 공격수의 포지션으로 사용됐는데 1980년대 이후 축구에서 새로운 개념으로 운영하게됐다. 과거 풀백은 명칭대로 수비를 전담하는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6] 왜 풀백(Full Back)이라 말할까
풀백(Full Back)은 말 그대로 하면 수비만을 전담하는 포지션을 뜻한다. 원래 수비지역에 넓게 퍼져 임무를 수행해 센터백(Center Back)에 포함됐다. 특히 대부분 수비만을 커버하기 때문에 풀백이라고 불렀다. 미들필드까지 올라가 공격을 도와주는 수비수는 수비에서 절반만을 담당한다고 해서 하프백(Half Back)이라고 명명했다. 풀백은 19세기 럭비에 기원을 두고 있다. 1863년 축구가 럭비에서 분리되기 이전에 풀백은 아일랜드식 명칭으로 쿼터백(Quarter Back), 하프백 등과 함께 포지션 용어로 사용됐다. 축구에서 풀백이라는 개념은 1930년대 WM 포메이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상대 진영을 바라보며 ‘M’자 형태를 이루는 수비수 5명
오피니언
[대한민국 스포츠 100년](65)올림픽 참가를 위한 염원②미 군정청이 발행한 첫 여권의 주인공 전경무와 브런디지 회담
1946년 7월 15일 구성된 올림픽대책위원회(위원장 유억겸)는 이해가 저물어 갈 무렵 전경무 부위원장을 미국으로 파견했다. 평안북도 곽산 출신인 전경무 부위원장은 6살 때 부모와 함께 미국으로 이주해 미시간대학 정치학부를 졸업했다. 그는 학창시절 동양인으로는 처음 미국대학웅변협회 회장을 맡을 정도로 뛰어난 영어 실력을 갖추었고 대학 졸업 후에는 하와이에서 193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원단체인 단합회에 가입하고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는 한국광복진선을 결성해 임시정부 지원에 힘을 쏟았다. 1945년 4월 ‘평화를 준비하기 위한 연합국회의’를 앞두고 재미한족 연합위원회 파견대표로도 활동했던 그는 광복을 맞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5] 스위퍼(Sweeper)와 스토퍼(Stopper)는 어떻게 다른가
스위퍼(Sweeper)와 스토퍼(Stopper)는 한때 세계 축구에서 유행했던 수비수의 용어였다. 이름 그대로 공격수들을 제압하며 수비수에서 가장 중요한 마지노선 같은 존재였다. 여기서 뚫리면 심각한 위기가 찾아오지만 잘 막으면 오히려 반전의 기회를 갖게 되기 때문이었다. 현재는 수비 전형에서 스위퍼와 스토퍼를 많이 운용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다. 현대 축구는 오프사이드 룰이 정교해져 수비수를 고정배치하는 것이 다소 불리하다고 판단해 미드필더진 운용을 중요하게 여긴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수비전술이 시도되면서 예전의 두 시스템이 다시 등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종전처럼 깊은 수비를 하는 것에서 벗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4] 센터백(Center Back)을 하프백(Half Back)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축구는 선수 11명이 한 팀이 이뤄 경기를 갖는 팀 스포츠이다. 1863년 영국에서 정식 경기 규칙이 만들어진 이후 선수 11명이 뛰는 기본적인 형태는 현재까지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포지션 명칭은 많이 바뀌었다. 포지션 이름이 자주 변화한 것은 포메이션이 시대적 상황에 따라 바뀌며 역할과 기능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현대 축구로 넘어오면서 전술이 다양하게 변화됨에 따라 선수들의 역할이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됐다. 수비수에서 특히 포지션 이름이 많이 바뀌었다. 말 그대로 중앙 수비수인 센터백(Center Back)은 최소 1명의 중앙 수비수가 필요하다는 기본적인 원칙에 따라 가장 먼저 만들어진 포지션이다. 중앙 공격수인 센터포워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3] 왜 ‘디펜더(Defender)’를 ‘수비수(守備手)’라고 말할까
한국 축구에서는 수비를 전담하는 선수를 한때 ‘디펜더(Defender)’ 대신에 ‘풀백(Full Back)’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쓴다. 동네축구에서 경기 전 포지션을 짤 때, 공격수로 포워드(Forward)로, 수비수는 풀백으로 나눠 분류하는게 대부분이다. 아마도 정확한 영어 표현인 디펜더라는 발음을 하기가 쉽지 않아 쉽게 발음할 수 있는 용어로 비슷한 의미인 풀백이라는 말을 썼던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이는 잘못 된 표현이다. 축구 본고장인 영국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정식 명칭은 ‘디펜더’가 맞는 용어이다. 축구가 일제 강점기 시절 대중적으로 많이 보급되면서 일본 사람들이 즐겨쓰는 표현이 그대로 자리잡았던 때문인 것으로 전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2] ‘폴스 9(False Nine)’과 ‘10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축구는 시대별로 포지션 운영에 대한 생각이 많이 다르다. 11명을 운영하는 기본 포지션은 같았지만 시대에 따라 포지션 개념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공격수 부문에서 가장 변화가 심했다.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 있는 것은 ‘폴스 9(False Nine)’과 ‘10번’이다. ‘폴스 9’은 직역을 하자면 가짜 9번이라는 뜻이다. 원래 9번은 주로 전방 중앙 공격수(Center Forward)에게 주는 백넘버이다. 가짜 9번이라는 말은 결과적으로 가짜 센터 포워드라는 의미이다. 가짜라는 말이 붙은 이유는 비록 중앙 공격수자리에 배치되지만 최전방에 있지않고 미드필드 라인까지 깊게 내려와 공격을 하기 때문이다. 득점을 노리기보단 중원까지 담당하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1] 포워드(Forward)를 왜 공격수(攻擊手)라고 말할까
포워드(Forward)는 말 그대로 축구에서 가장 앞선에 있는 선수를 말한다. 가장 앞에 있는만큼 상대 골문에 가까이 있어서 득점할 기회가 많다. 득점능력이 매우 중요한 포지션이다. 하지만 상대의 집중적인 견제도 많이 받기 때문에 득점을 올리는 게 결코 만만치 않다. 포워드라는 말은 고대 영어 ‘Foreweard’에서 유래했다. 원 뜻은 전면이나 전면 지역을 의미한다. 영어 어원사전에 따르면 1879년 축구 포지션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우리 말은 한자어로 공격수(攻擊手)라고 부른다. 상대편을 치고(攻) 때리는(擊) 사람(手)이라는 뜻이다.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보면 공격이라는 단어는 군사 용어로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공격수라는 단어
오피니언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310] 미드필더(Midfielder)를 왜 ‘중원(中原)의 지휘자’라고 부를까
미드필더(Midfielder)는 공격수와 수비수 사이에서 활동하는 포지션이다. 축구 경기장을 2등분하는 하프라인(Half Line)을 중심으로 공격과 수비를 담당한다. 공격수 뒤에 , 수비수 앞에서 활동하는게 미드필더이다. 감독들은 미드필더를 공격과 수비의 연결과 함께 볼의 지배력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적인 포지션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미드필더는 영어 가운데를 뜻하는 미드(Mid)와 운동선수를 뜻하는 필더(Fielder)의 합성어이다. 말 그대로 가운데에서 뛰는 선수라는 뜻이다. 미드필드는 경기장의 중앙을 가리킨다. 센터 서클(Center Circle)을 중심으로 경기장 중앙 부분을 말한다. 한자어로 가운데는 ‘중간(中間)’이라고 쓴다. 두 사
오피니언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많이 본 뉴스
롯데전 패배 아쉬움 딛고... 한화 류현진, LG 상대 '에이스 클라스' 보여주다
국내야구
"뜨거운 타격감 이어간다" 이정후, 7경기 연속 안타...시즌 타율 0.319
해외야구
9회말 두산 2점 추격에 '아찔'... kt, 간신히 승리 지키고 5위 수성
국내야구
"안세영 복귀·박주봉 데뷔" 한국 배드민턴, 수디르만컵 3연승
일반
'플로리얼, 보고 있나?' '한화바라기' 페라자, 트리플A서 '펄펄' 타율 0.383로 PCL 1위, 2루타도 15개로 1위, OPS는 1.061
국내야구
반즈 7이닝 1실점 호투-선발 전원 안타... 롯데, 키움 제압
국내야구
'역대급 악수인가, 신의 한 수인가?' 다저스 김혜성 영입에 럭스와 파헤스 포텐 '대폭발'
해외야구
롯데 출신 레일리, 메츠와 1+1년 계약...이정후와 빅리그 맞대결 가능성
국내야구
타격 1위 전민재, 얼굴 강타 큰 부상 면해...1군 엔트리 말소
국내야구
삼성, SSG 잡고 파죽의 6연승... 1위 LG와 격차 2경기로 좁혀
국내야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
쇼!이슈
에스파 윈터,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 홍보대사 위촉
Kpop
송지우, ‘사랑의 안단테’서 로코 도전
영화드라마
브브걸, 첫 팬 콘서트 개인 포스터 공개...4인 4색 매력 발산
Kpop
여자아이들 첫 유럽 투어 성황
Kpop
아이유, 데뷔 15주년 팬 콘서트 연다
Kpop
마니아툰
[마니아툰] 대한민국vs중국, 아시안게임 8강서 격돌
국내축구
[마니아툰] 이강인, 한 달만에 실전 경기 복귀!
해외축구
[마니아툰] 샌디에이고의 '맥가이버칼, 김하성'
해외야구
[마니아툰] 배드민턴 안세영, 이제 그랜드슬램 꿈꾼다
일반
[마니아툰] 류현진, 슈어저와 맞대결 예정
해외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