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포토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3] 왜 ‘텀블링’이라 말할까
체조나 태권도 시범에서 두 손을 땅에 짚고 두 다리를 공중으로 쳐들어서 반대방향으로 넘는 묘기를 자주 볼 수 있다. 축구 월드컵이나 영국 프리미어리그에서 선수들이 골을 넣은 뒤 시원하게 몸을 공중에서 360도 회전하는 골 세리모니를 하기도 한다. 이런 동작을 ‘텀블링’이라고 말한다. 흔히 ‘덤블링하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텀블링’이 바른 표기다. 공중제비, 공중 트위스트, 구르기 등으로 말하기도 하는 ‘텀블링’은 외래어이다. 영어로는 ‘tumbling’이라고 표기한다. 영어로 공중제비는 ‘somersault’라고 말하며, 손을 땅에 짚고 하는 재주넘기는 ‘handspring’라고 말한다. ‘tumbling’는 구르다라는 의미인 동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2] 왜 ‘물구나무서기’라고 말할까
학교나 공원 철봉대에서 물구나무 서기를 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헬스장에서도 물구나무 자세를 하는 이들이 꽤 많다. 군대에선 간단한 도수체조를 마친 뒤 한 사람이 상대의 발을 잡아주고 물구나무서기로 앞 뒤로 왔다갔다하는 운동으로 몸을 풀기도 한다. 물구나무서기는 두 손으로 바닥을 짚고 몸을 거꾸로 하여 서는 것으로 순 우리말이다. 물구나무를 어간으로 ‘서다’라는 동사를 붙여 ‘물구나무 서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handstand’라고 말한다. 일제 강점기시절에는 물구나무서기를 일본어로 ‘사카다치(さかだち·)’라고 말하기도 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물구나무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하지만 글자 구성으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1] 왜 ‘수구체조(手具體操)’라고 말할까
리듬체조는 로프(줄), 볼, 후프, 곤봉, 리본 등 5가지 ‘수구’로 나뉜다. 리듬체조를 ‘수구체조’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 코너 855회 ‘왜 ‘리듬체조’라 말할까‘ 참조) 수구체조는 손에 기구를 들고 하는 체조라는 의미이다. 수구체조는 맨손으로 하는 ’도수체조(徒手體操)‘, 계기를 사용하는 ’기계체조(器械體操)‘와 대비된다. (본 코너 852회 ’왜 ‘도수체조(徒手體操)’라 말할까‘, 853회 ’왜 ‘기계체조(器械體操)’라고 말할까‘ 참조)수구체조는 일본식 조어이다. 손에 기구를 든다는 의미인 ‘수구(手具)’와 ‘체조(體操)’의 합성어이다. 수구체조는 영어로 'gymnastics apparatus' 라고 말한다. 수구체조라는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70] 리듬체조서 왜 ‘리본(ribbon)’이라 말할까
국어사전을 검색해보면 리본은 외래어로 분류해놓았다. 끈이나 띠 모양의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머리, 모자, 선물, 훈장 따위의 장식에 쓴다. 리듬체조 종목 도구의 하나이면서 종목 자체 이름으로도 사용한다. 긴 띠 모양의 천으로 손잡이가 달려 있다. 리본은 영어로 ‘ribbon’이라고 표기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어원은 불확실하지만 고대 프랑스어 ‘riban’으로 추정한다. 중세 영어 ‘riban’, ‘ryban’, ‘ryband’를 거쳐 현대 영어로 쓰이게 됐다. 우리나라에선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리본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조선일보 1923년 10월6일자 ‘수예품강습회(手藝品講習會)’ 기사는 ‘시내 관훈동(寬勳洞) 일백오십오빈디에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9] 리듬체조 ‘후프(hoop)’와 ‘훌라후프(hula hoop)’는 어떻게 다를까
후프는 리듬체조 종목의 하나이면서 도구 이름이다. 훌라후프는 미국의 장난감 회사가 개발한 장난감 후프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후프는 경기용 용어이고, 훌라후프는 일반인들이 후프를 즐기게 하도록 만든 특정 회사 상품 용어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hoop’는 둥근 테를 뜻한다. 게르만어 ‘hop’가 어원이며, 고대영어 ‘hop’를 거쳐 12세기 후반부터 현재의 의미를 갖게됐다.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제임스 네이미스에 의해 농구가 발명되면서 농구 종목이나 농구 링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였다. 1960년대 리듬체조가 국제적으로 보급되면서 리듬체조 종목의 하나로 사용됐다. 후프는 리듬체조 도구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크다. 안쪽 지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8] 왜 리듬체조에서 ‘볼(ball)’이라고 말할까
리듬체조의 한 종목인 ‘볼’은 사용하는 도구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볼은 공을 의미하는 외래어이다. 영어로 ‘ball’이라고 표기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볼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205년 영어 시가에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단어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고대 게르마니아어 ‘발루(Bollr)’에서 중세 영어 ‘발(Bal)로 바뀌면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고대 스웨덴어 ’발러(Baller), ‘중세 독일어와 네덜란드어 ’발(Bal)’도 같은 어원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한다. 만약 볼이 게르만어에 기원을 두었다면 라틴어 '폴리스(Foll-is)'와 같은 의미인 "폭발되거나 부풀려진 것"이라는 동의어이었을지도 모른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7] 리듬체조에서 왜 ‘로프(rope)‘라고 말할까
로프는 리듬체조 종목이면서 경기 용구 명칭이다. 굵은 밧줄을 의미하는 명사형 외래어이기도 한 로프의 영어는 ‘rope’이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rope’의 어원은 상당한 두께를 가진 강하고 무거운 줄을 의미하는 독일어 ‘reif’이다. 고대 영어 ‘rap’, 중세 영어 ‘rop’를 거쳐 14세기 초반 현재의 의미로 쓰였다. 로프는 선사시대부터 사용했다. 건설, 항해, 탐사, 스포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였다. 로프는 많은 유형의 매듭이 개발되면서 폭넓게 쓰였다.우리나라에서 로프라는 말은 일제 강점기때부터 사용했다. 조선일보 1937년 7월5일자 ‘권양기(捲揚機) "로프" 절단갱부사명사상(切斷坑夫四名死傷)’ 기사는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6] 왜 체조에서 영어 ‘클럽(club)’을 ‘곤봉(棍棒)’이라 말할까
초등학교 운동회 때 ‘곤봉 체조’를 헀던 기억이 있다. 나무로 된 철구공이 모양의 도구를 갖고 하는 체조였다. 곤봉은 원래 리듬체조 종목이면서 그 종목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곤봉은 한국, 중국, 일본 등 한자 문화권에서 오랫동안 쓰는 한자어이다. ‘몽둥이 곤(棍)’과 ‘막대 봉(捧)’이 합해진 곤봉은 몽둥이 막대라는 뜻이다. 나무로 짤막하게 만든 몽둥이를 ‘곤봉’이라 불렀다.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38권, 영조 10년(1734년) 7월 18일 2번째 기사 ‘함경 남도인 자근례 등이 병사 이의풍을 칼로 찌른 사건’은 ‘함경 남도(咸鏡南道)의 구(舊) 병사(兵使) 이의풍(李義豐)이 사소한 일로 인하여 영교(營校) 배수현(裵守賢)을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5] 체조선수가 ‘할로우 바디(Hollow body)’를 활용하는 이유
‘할로우 바디(Hollow body)는 체조 기본동작으로 몸 신체 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한다. ’아치 바디(Arch body)’와 함께 ‘코어 안정성(Core stability)’을 높이는 운동이다. (본 코너 864회 ‘‘아치 바디(Arch body)’에서 ‘아치’는 어떤 의미일까‘ 참조) 두 동작은 체조를 제대로 하려면 반드시 익혀야 한다. 아치 바디가 활이라면, 할로우 바디는 바나나를 연상하면 된다. 할로우 바디는 영어로 속이 비거나 움푹 꺼진다는 의미인 형용사 ‘hollow’와 몸을 의미하는 명사 ‘body’의 합성어이다. 평평한 등을 만든다는 뜻이다. 할로우 바디에 익숙하면 모든 동작을 곧게 만들어진다. 체조의 고난이도 동작들은 할로우 바디를 기초로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4] ‘아치 바디(Arch body)’에서 ‘아치’는 어떤 의미일까
체조에 ‘아치 바디(Arch body)’라 불리는 기본 동작이 있다. 등과 허리를 뒤로 젖힌 자세를 말한다. 이 동작은 바닥에 엎드려서 할 수도 있으며, 회전하면서 동작을 취할 수도 있다. 일반인에게는 어려운 자세일 수 있지만, 숙련된 체조 선수에게는 기초적인 동작이다.아치 바디는 영어를 우리 말로 발음한 단어이다. 활을 뜻하는 영어 ‘arch’와 몸을 의미하는 ‘body’가 합성된 말이다. ‘arch’는 라틴어 ‘arcus’가 어원이다. 12세기 고대 프랑스어로 다리나 건물에서 곡선 모양을 의미하는 ‘arche’를 거쳐 영어로 정착했다. ‘arch’를 접두어로 활용하는 단어로 ‘archer(활 쏘는 사람)’, ‘archery(양궁)’ 등이 있다. 이 단어들은
일반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많이 본 뉴스
"샌디에이고, 보가츠 대신 김하성 풀타임 유격수 이동 고려"(샌디에이고 유니언-트리뷴)...보가츠 "나는 현실적이지만 아직은 이르다" 거부
해외야구
'사임할래, 해고될래?' 압력에 쇼월터 사임...메츠, 바뀐 사장 '사단' 감독 영입 위해 쇼월터 사실상 해고
해외야구
'맨유가 이렇게까지 무너지나'…UCL 시작부터 유례없는 2연패
해외축구
'김민재 풀타임' 뮌헨, 역전승으로 UCL 조별리그 15연승
해외축구
"히 이즈 온 파이어!" 토트넘 '레전드' 데포 "손흥민 이번 시즌 25골 넣을 것"
해외축구
다음 주엔 1위? 손흥민, 데일리메일 선정 파워랭킹 지난 주 3위에서 2위로...홀란은 4위로 미끄러져
해외축구
하든, 미디어데이 '노쇼'...필라델피아에 트레이드 압박, 트레이닝 캠프도 불참하나
농구
'카메라가 못 따라가는 스피드' 스포츠클라이밍 스피드 여자 4강
스포츠포토
미 매체, 골드글러브 유틸리티 부문 김하성 유력 후보...한국계 에드먼과 치열한 경쟁
해외야구
연봉 2천만달러 류현진이 PO에서 할 일이 없다? 불펜 경험도 있어 지켜봐야
해외야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