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골프
야구
국내야구
해외야구
축구
국내축구
해외축구
스포츠
농구
배구
일반
헬스
E스포츠
오피니언
엔터테인먼트
문화·라이프
마니아TV
포토
오피니언
OPINION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3] 왜 영어 ‘Balance beam’을 ‘평균대’라고 말할까
체조는 남녀의 신체적 특성을 잘 살리기 위해 만들어진 운동이다. 남자 종목은 근력을, 여자 종목은 우아함을 중시하는 이유이다. 특히 남자종목은 상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극단적인 몸운동을 하는 종목들이 대부분이다. 여자종목은 마루운동, 뜀틀, 이단평행봉, 평균대 등 4개 종목을 실시하는데 우아하고 오묘한 신체 균형의 미를 잘 표현해야 한다. 평균대는 안정성, 평형성, 아름다움을 중요시하는 경기이다. 높은 기교와 율동미가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좋은 평가를 받는다. 평균대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차이가 없이 고르다는 의미인 ‘평균(平均)’과 물건을 받치거나 올려놓게 만든 것을 나타내는 ‘대(臺)’가 합성된 말이다. 평균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2] 왜 영어 ‘Horizontal bar’를 ‘철봉(鐵棒)’이라고 말할까
학교나 공원 등에서 철봉을 흔히 볼 수 있다. 두 개의 기둥 사이에 철봉을 수평으로 걸어 만들어진 기구를 철봉이라고 말한다. 철봉은 체조나 체육 기구로 많이 활용하는데 이 말은 일본식 한자어이다. ‘쇠 철(鐵)’과 ‘막대 봉(棒)’가 합해진 단어로 쇠로 만든 막대라는게 원래 의미이다. 체조 용어로 ‘철봉’은 영어 ‘Horizontal bar’를 번역한 말이다. 이 말은 수평을 의미하는 형용사 ‘Horizontal’과 막대기를 의미하는 명사 ‘bar’이 결합된 단어로 직역하면 ‘수평봉’이라고 불러야 했다. 하지만 ‘철봉’으로 의역한 것은 남자 체조종목에 ‘평행봉(Parallel bars)’이 있기 때문이다. (본 코너 860회 ‘왜 ‘평행봉(平行棒)’이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1] 왜 ‘이단평행봉’이라 말할까
체조 남자 종목에 평행봉이 있다면 여자 종목에는 이단 평행봉이 있다. 이단 평행봉은 말 그대로 평행봉이 2개가 있다는 의미이다. 2개의 평팽봉을 각각 높이가 다르게 설치해 놓은 것이다. 한자어로 ‘이단 평행봉(二段平行棒)’로 표기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단 평행봉은 영어 ‘uneven bars’를 번역한 말이다. 영어를 직역하면 고르지 않는 막대라는 뜻이지만 의역해 한자어로 두 개의 평행봉을 서로 다르게 운영한다는 의미로 이단 평행봉이라고 불렀다. 국제 체조계의 공식 언어인 프랑스어로는 ‘barres asymetriques’라고 말한다. 일본에선 ‘段違い平行棒’이라고 표기한다. 층계를 의미하는 ‘단(段)’에 서로 어긋나다는 뜻인 ‘위(違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60] 왜 ‘평행봉(平行棒)’이라 말할까
평행봉은 초중등학교나 체육공원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대개 철봉 옆에 설치돼 있다. 원래 평행봉은 체조 종목 이름이기도 하다. 평행으로 설치된 봉 위에서 몸을 팔로 지지하고 진동을 이용한 연기를 펼치는 체조 종목의 하나이다. 특별한 것은 이 종목은 남자만이 실시한다는 점이다. 링과 같이 극단적인 상체 강도를 요구하는 특성이 있어 여성들에게는 맞지않는 종목이기 때문이다.(본 코너 859회 ‘왜 체조에서 ‘링’이라는 이름을 쓸까‘ 참조)평행봉은 일본식 한자어이다. 서로 나란히 이어진다는 의미인 ‘평행(平行)’과 막대기를 의미하는 ‘봉(棒)’이라는 두 단어가 합해진 말이다. 이 단어는 영어 ‘parallel bars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9] 왜 체조에서 ‘링’이라는 이름을 쓸까
링은 고리나 고리 모양의 가락지를 의미하는 외래어이다. 영어로는 ‘ring’이라고 표기한다. 정사각형으로 된 권투 경기장을 링이라고도 말한다. 하지만 링운동이라고 하면 체조 종목의 하나를 이른다. 로프에 매달린 두 개의 링을 잡고 물구나무서기, 매달리기 등의 동작을 하는 운동이다. 기계체조에선 보통 줄여서 ‘링’이라고 부른다. 링운동의 정식 영어 표기는 ‘rings’이다. 체조의 국제공용어인 프랑스어로는 ‘anneaux’라고 말한다. 링운동은 영어로 ‘still rings’라고 부르기도 한다. 날아다닌다는 의미인 ‘flying rings’와 구분하기 위해 머문다는 뜻으로 붙인 말이다. 원래 ‘ring’은 구부러진 원을 의미하는 고대 독일어 ‘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8] 왜 체조 종목에서 ‘도마(跳馬)’라는 말을 쓸까
지난 8월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신임검사 임관식에서 간단한 인사말을 한 뒤 체조 동영상을 보여줬다. 체조 도마부문에서 1932년 LA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사비노 굴리엘메티(이탈리아)와 2012년 런던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양학선의 경기영상을 소개한 것이다. 그는 눈에 띄게 기술적으로 큰 차이가 나는 두 영상을 비교하면서 “인간의 DNA가 80년 만에 바뀌었을 리가 없다”며 “그런데 확실히 클래스가 다르지 않나. 이건 축적된 노하우와 전달된 자산의 차이일 것”이라고 했다. 한 장관은 “70년간 축적된 검찰의 수사와 재판에 대한 역량은 대한민국 국민의 자산”이라며 “여러분은 국민이 내는 세금으로 앞으로 월급 받아 일할 사람들이다. 7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7] 왜 체조 종목 ‘안마(鞍馬)’에 ‘말 마(馬)’가 붙었을까
체조에서 말과 연관한 종목이 2개가 있다. 안마와 뜀틀이다. 모두 승마 훈련에서 유래된 종목이다. 안마는 목마를 본 따 기구를 사용하며, 뜀틀은 말처럼 생긴 틀을 뛰어 넘는다. 안마는 일본식 한자어로 ‘안마(鞍馬)’로 표기해 ‘말 마(馬)’를 종목이름으로 쓴다. 뜀틀은 예전 일본식 한자어로 말과 흡사한 틀을 뛰어넘는다는 의미로 ‘도마(跳馬)’라고 불렀다. 도마는 후에 국어 순화운동의 일환으로 ‘뜀틀’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안마는 영어 ‘Pommel horse’를 번역한 말이다. ‘Pommel’은 안장머리 손잡이를 의미하며 ‘horse’는 말을 의미한다. 포멜이라는 두 개의 손잡이가 붙은 틀 위에서 손만으로 기술을 보여주는 경기라는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6] 왜 ‘마루운동’이라고 말할까
기계 체조 종목 용어는 색다른 게 많은 편이다. 마루, 도마, 안마 등 ‘마’자가 들어가는 게 있는가 하면 평행봉, 철봉 등 ‘봉’자를 쓰는 것도 있다. 모두 사용하는 기구와 관련해서 종목 이름을 붙인 것이다. 마루 운동은 그야말로 마루바닥에서 하는 체조를 일컫는다. 마루에서 공중 돌기, 물구나무서기, 균형 잡기 등의 동작을 실시해 근력과 유연성을 평가받는 종목이다. 영어로는 ‘floor exercise’, 프랑스어로는 ‘exercices au sol’이라고 말한다. 모두 마루에서 하는 운동이라는 뜻이다. 현재 일본에선 ‘상운동(床運動)’이라고 말한다. 마루운동이라는 단어는 널빤지를 깔아 만든 바닥 또는 널빤지로 바닥을 이룬 공간을 뜻하는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5] 왜 ‘리듬체조’라 말할까
리듬체조는 올림픽에서 가장 화려한 종목이다. 남성은 애초에 참가할 수 없는 가장 여성적인 종목이기도 하다. TV나 신문 등 언론들은 올림픽이 벌어지면 리듬체조에서 멋진 화면이나 사진을 잡아내는데 총력을 기울인다. 리듬체조는 영어와 한문을 섞어서 표현한 말이다. 영어 원어는 ‘ rhythmic gymnastics’이다. ‘rhythmic’는 율동적인 의미의 형용사이고, ‘gymnastics’는 체조라는 의미이다. (본 코너 851회 ‘왜 ‘체조(體操)’라고 말할까‘ 참조) 직역하면 율동적으로 하는 체조라는 뜻이다. 외래어 ’리듬‘과 한자어 ’체조‘를 합성해 ’리듬체조‘라고 한 것은 ’리듬‘이라는 원어 발음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때문으로 보인다.
일반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854] 왜 ‘국제체조연맹(FIG)’이라고 말할까
국제체조연맹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가입한 단체로 세계적으로 체조 종목을 관장하는 기구이다. 국제체조연맹은 프랑스어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Gymnastique(FIG )’를 번역한 일본식 한자어이다. 국제(國際), 체조(體操), 연맹(聯盟) 세 단어 모두 일본식 한자어이다. (본 코너 700회 ‘왜 ‘국제경기연맹’이라고 말할까‘, 851회 ’왜 ‘체조(體操)’라고 말할까‘ 참조)국제체조연맹이 프랑스어를 단체명으로 갖게 된 것은 창설 당시 유럽 체조 주도국이 프랑스였기 때문이다. 1881년 7월23일 벨기에 리에주에서 설립된 국제체조연맹은 IOC 가맹 단체 가운데 가장 오래된 국제경기단체이다. 1896년 제1회 아테네올림픽부터
일반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많이 본 뉴스
"샌디에이고, 보가츠 대신 김하성 풀타임 유격수 이동 고려"(샌디에이고 유니언-트리뷴)...보가츠 "나는 현실적이지만 아직은 이르다" 거부
해외야구
'사임할래, 해고될래?' 압력에 쇼월터 사임...메츠, 바뀐 사장 '사단' 감독 영입 위해 쇼월터 사실상 해고
해외야구
'맨유가 이렇게까지 무너지나'…UCL 시작부터 유례없는 2연패
해외축구
'김민재 풀타임' 뮌헨, 역전승으로 UCL 조별리그 15연승
해외축구
"히 이즈 온 파이어!" 토트넘 '레전드' 데포 "손흥민 이번 시즌 25골 넣을 것"
해외축구
다음 주엔 1위? 손흥민, 데일리메일 선정 파워랭킹 지난 주 3위에서 2위로...홀란은 4위로 미끄러져
해외축구
하든, 미디어데이 '노쇼'...필라델피아에 트레이드 압박, 트레이닝 캠프도 불참하나
농구
'카메라가 못 따라가는 스피드' 스포츠클라이밍 스피드 여자 4강
스포츠포토
미 매체, 골드글러브 유틸리티 부문 김하성 유력 후보...한국계 에드먼과 치열한 경쟁
해외야구
연봉 2천만달러 류현진이 PO에서 할 일이 없다? 불펜 경험도 있어 지켜봐야
해외야구
facebook
NAVER cafe
NAVER Blog
Youtube
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