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표지 이미지 [블랙피쉬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22714293707721a5b6bbcc6e220117153110.jpg&nmt=19)
50 여 점의 그림을 통해 문화가 만개하던 조선 후기 사회를 들여다본 책.
간송미술관 연구원을 지낸 뒤 현재 고미술 해설가로 활동하는 저자가 신윤복, 정선, 김홍도 등 화가 7명의 작품과 기록화를 토대로 역사의 한 장면을 살폈다.
저자는 풍속화와 기록화가 당대 생활과 모임 장면을 담고 있어 '사진' 역할을 했다고 본다.
실제로 그림은 사진이 도입되기 전부터 시대를 읽어내는 중요한 단서이자 중요한 사료로 여겨졌다.
그 안에는 백성이 살아가는 다채로운 일상이 있었고, 왕실과 상류사회의 행사가 생생히 담겼다.
불교계 힘이 약해진 시기의 스님, 재가(再嫁·결혼했던 여자가 남편과 사별하거나 이혼해 다른 남자와 결혼함)할 수 없는 사대부 여인이 짝짓기 하는 동물을 보는 장면 등에서는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저자는 "풍속화가 드라마라면 기록화는 다큐멘터리"라고 설명한다.
블랙피쉬. 280쪽.
![책 표지 이미지 [한뼘책방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22714315803922a5b6bbcc6e220117153110.jpg&nmt=19)
▲ 조선사 스무고개 = 이윤석 지음.
오랜 기간 고소설을 연구하며 발견한 역사의 조각을 한데 모았다.
저자는 수십 년 동안 '춘향전', '홍길동전'과 같은 조선시대 고소설을 연구하면서 당대에는 흔했지만, 지금은 쉽게 알 수 없거나 사라진 것들을 하나씩 찾아간다.
책은 암호, 봉수대, 과거, 한양 구경, 뗏목, 얼음 등 스무 가지 주제를 다룬다.
조선 사람들이 먹었던 음식과 당대의 사치품, 이동할 때 묵었던 숙소, 집을 짓기 위해 목재를 나르는 방법 등 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살펴본다.
'춘향전'에서 이 도령이 처음으로 춘향의 집에 가서 술상을 받는 장면에 나오는 '고추장에 관목 찐 것'이란 구절을 이해하기 위해 옛 문헌 속 청어 이야기를 엮어낸 점 등이 흥미롭다.
지난 2년 간 매달 '월간 중앙'에 쓴 글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한뼘책방. 296쪽.
[전경우 마니아타임즈 기자/ckw8629@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