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은메달리스트 미카엘 킹즈버리, 우승자 호리시마 이쿠마, 동메달을 딴 정대윤. 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31922434001683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이는 프리스타일 스키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선수가 획득한 첫 메달이자, 한국 스키·스노보드 전체로는 2023년 이채운(경희대)의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금메달에 이은 역대 두 번째 세계선수권 메달이다.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에서는 2017년 서지원이 여자 듀얼 모굴에서 기록한 4위가 이전까지 한국 선수 최고 성적이었다. 정대윤은 이 기록을 뛰어넘어 한국 프리스타일 스키의 메달 획득 장벽을 최초로 무너뜨렸다.
정대윤은 이미 2023년과 2024년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 남자 모굴에서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지난달에는 월드컵에서 한국 선수 최초로 모굴 종목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한국 모굴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메달 목에 걸고 팀원들과 자축하는 정대윤(오른쪽에서 두 번째). 사진[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31922555405061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이번 대회 남자 모굴에서는 일본의 호리시마 이쿠마가 89.03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모굴의 킹'이라 불리는 미카엘 킹즈버리(캐나다)는 82.68점으로 2위에 머물렀다. 킹즈버리는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모굴에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3연속 우승을 달성했으나, 4연패 도전은 실패했다. 그럼에도 2011년(동메달)부터 이어온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모굴 8회 연속 입상 기록은 유지했다.
정대윤의 이번 동메달은 한국 동계스포츠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성과로, 앞으로 한국 프리스타일 스키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순간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전슬찬 마니아타임즈 기자 / sc3117@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