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들에게 인사하는 조코비치. 사진[AP=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60713325101350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조코비치는 7일(한국시간) 프랑스 파리의 롤랑가로스에서 열린 프랑스오픈 남자 단식 준결승에서 세계 1위 얀니크 신네르(이탈리아)에게 0-3으로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됐다.
언제 은퇴해도 이상할 게 없는 나이에도 '톱 레벨'의 경기력을 유지해 온 조코비치는 패배가 확정되자 손에 키스를 한 뒤 클레이 바닥에 대는 듯한 동작을 했다.
![관중들에게 인사하는 조코비치. 사진[AP=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60713331801170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은 당연히 '은퇴 가능성'을 물었고, 조코비치는 생각을 담담하게 밝혔다.
조코비치는 "모르겠다. 이게 이곳에서 내가 펼치는 마지막 경기가 될 수도 있다"면서 "그래서 마지막에 더 감정적이었던 것 같다"고 돌아봤다.
이어 "그러나 이게 내가 롤랑가로스에서 펼치는 은퇴 경기라면, 분위기와 관중 응원을 놓고 볼 때 굉장했다고 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조코비치는 "내 경력에서 이 시점에 '12개월 뒤'는 꽤 긴 시간"이라면서 "더 뛰고 싶냐고? 그렇다. 그러나 내가 12개월 뒤에 여기서 또 뛸 수 있을지는 나도 잘 모른다"고 말했다.
조코비치는 이번 대회 직전 남자프로테니스(ATP) 투어 이상급 대회에서 통산 100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 기록을 달성한 건 조코비치가 역대 3번째다.
여기에 만족할 조코비치가 아니다. 그는 남녀를 통틀어 최다인 메이저 대회 단식 25회 우승에 도전하고 있다.
그러나 조코비치의 마지막 메이저 대회 우승 기록은 2023년 US오픈에서 멈췄다.
![조코비치와 인사하는 신네르. 사진[신화=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60713333403209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조코비치를 물리치고 4번째 메이저 대회 우승 기회를 잡은 신네르는 '대선배'와 좀 더 코트에서 대결하고 싶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그는 "조코비치가 은퇴하지 않기를 바란다. 아직 테니스는 그가 필요하다. 우리 젊은 선수들과는 다른,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점이 멋지고 놀랍다"면서 "라커룸에서 그를 보고, 그의 열정을 보는 것 자체가 멋진 일이다. 조코비치는 우리 모두에게 진정한 롤모델이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종균 마니아타임즈 기자 / ljk@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