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현지시간) 테일러 프리츠(미국)와 카렌 하차노프(러시아)의 남자단식 8강전에서 또다시 전자 판독기 오류가 발생했다.
첫 두 세트를 연달아 따낸 프리츠가 세 번째 세트에서 1-6으로 내준 뒤 네 번째 세트 첫 게임에서 15-0으로 앞서가던 상황이었다. 프리츠의 서브 상황에서 '폴트'가 잘못 선언되는 문제가 벌어졌다.
스웨덴 출신 심판 루이즈 아제마르엥젤은 경기를 중단하고 전화로 상황을 확인한 후 "시스템 고장으로 마지막 포인트를 재경기한다. 지금은 시스템이 정상 작동 중"이라고 관중들에게 안내했다.
윔블던 주최 측인 올잉글랜드 클럽은 "볼보이·볼걸이 네트를 넘어가는 동안 선수의 서브 동작이 시작돼 라인 판독 시스템이 플레이의 시작을 인식하지 못했다. 따라서 주심은 해당 포인트를 재경기하도록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프리츠는 결국 하차노프를 3-1(6-3 6-4 1-6 7-6<7-4>)로 제압하며 준결승 무대에 올랐다.
윔블던은 올해 전면적으로 선심을 배제하고 전자 판독기를 도입해 공의 라인아웃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예선부터 본선까지 모든 코트에 인공지능 기반의 샷 판독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전체 코트에 400대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전자 판독기의 오작동 사례가 계속 발생하면서 선수들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경기는 파블류첸코바의 2-0 승리로 끝났지만, 잘못된 판정으로 승패가 뒤바뀔 뻔한 아찔한 순간이었다. 파블류첸코바는 문제의 게임 후 주심에게 강하게 항의하며 "게임을 도둑맞았다"고 분노를 표출했다.
이날 전자 판독기 오작동을 직접 겪은 하차노프와 프리츠는 시스템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놨다.
하차노프는 "인간 선심을 선호한다. 그들이 없으면 코트가 너무 외로워진다"면서 "전자 판독은 매우 정확해야 하고, 실수가 없어야 한다. 왜 이런 오작동 사례가 발생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프리츠는 "여기저기서 문제는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경기 중에 라인 아웃 여부를 두고 챌린지할지를 고민하지 않아도 되기에 전자 판독이 훨씬 나은 것 같다"고 옹호했다.
[이종균 마니아타임즈 기자 / ljk@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