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현은 올 시즌 선발 등판 없이 64경기에 출전해 10승 2패 25세이브 평균자책점 3.62의 성적을 거뒀다.
승률 1위(0.833)를 달리는 박영현은 2024시즌 잔여 경기에서 패전 투수가 되지 않으면 이 부문 1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2위 NC 다이노스 카일 하트(13승 3패 승률 0.813), 3위 SSG 랜더스 드루 앤더슨(10승 3패 승률 0.769)은 잔여 경기에서 승리를 쌓더라도 박영현을 넘을 수 없다.
당초 올 시즌 승률왕은 하트가 차지할 가능성이 커 보였다.
그러나 하트가 25일 SSG랜더스전에서 부진한 모습으로 패전의 멍에를 쓰면서 박영현이 1위에 올랐다.
승률왕은 규정이닝과 관계없이 10승 이상을 거둔 투수 중 승률 1위에게 주는 타이틀이다.
선발 등판 없이 승률왕에 오른 건 2005년 오승환(삼성 라이온즈)이 마지막이었다.
당시 오승환은 10승 1패 16세이브 11홀드 평균자책점 1.18, 승률 0.909로 신인상과 함께 승률왕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후 KBO리그 승률왕은 모두 선발 투수들이 차지했다.

엄상백은 2022년 11승 2패의 성적을 거두며 kt 선수로는 처음으로 승률왕에 올랐다.
2023년엔 외국인 투수 윌리엄 쿠에바스가 12승 무패로 이 상을 받았다.
사실 박영현의 승률왕 타이틀 도전은 선수 개인이나 소속 팀에 썩 달갑지만은 않다.
마무리 투수가 10승이나 거뒀다는 것은, 뒤지고 있는 경기에 많이 등판했거나 동점 혹은 역전을 허용한 뒤 다시 경기를 뒤집은 경우가 많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kt는 선발 투수들의 부진으로 기대 수준의 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kt는 개막 전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고영표의 부상 이탈과 소형준의 더딘 회복 속도, 외국인 투수들의 부진 등으로 앞문이 크게 흔들리면서 뒤로 처졌다.
올 시즌 kt의 선발 투수 평균자책점은 5.18로 10개 구단 중 9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박영현은 1∼2점 차로 뒤진 경기에 등판하는 경우가 많았다.
kt의 핵심 불펜 김민도 올 시즌 8승(4패 21홀드)이나 거뒀다.
박영현의 승률왕 도전은 kt의 아픈 상처다. /연합뉴스
[정태화 마니아타임즈 기자/cth0826@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