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 3년 차인 김도영은 올 시즌 프로야구 역사에 획을 긋는 다양한 기록을 세우면서 팀의 선두 질주를 이끌고 있다.
김도영은 23일까지 올 시즌 93경기에서 타율 0.354, 25홈런, 71타점, 97득점, 29도루의 엄청난 성적을 올렸다.
장타율은 0.643, 출루율은 0.423, OPS(장타율+출루율)는 1.066에 달한다.
김도영은 타격 전 부문에서 상위권 경쟁을 펼치고 있다.
타율은 전체 3위로 기예르모 에레디아(SSG 랜더스·0.362), 빅터 레이예스(롯데 자이언츠·0.358)를 바싹 추격 중이다.
홈런은 NC 다이노스 맷 데이비슨(28개)에 이은 2위이고 득점은 1위다. 타점은 공동 9위, 도루는 6위를 달린다. 장타율은 1위, 출루율은 3위다.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강렬한 기록도 다수 생산했다.
4월 한 달 동안 10홈런 14도루를 기록하면서 KBO리그 최초로 월간 10홈런-10도루 고지를 밟았고, 역대 5번째로 전반기에 20홈런-20도루를 달성했다.
23일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NC 다이노스와 홈 경기에선 한국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4번의 타석에서 단타-2루타-3루타-홈런을 차례대로 기록하는 '내추럴 사이클링히트'를 작성하기도 했다.
앞서 내추럴 사이클링히트는 1996년 롯데 김응국이 유일하게 기록했는데, 당시 김응국은 안타를 친 다음 타석에서 유격수 땅볼로 아웃됐고 이후 2루타와 3루타, 홈런을 차례대로 날렸다.
중간에 아웃카운트 없이 내추럴 사이클링히트를 친 건 김도영이 최초다.

2003년 10월 2일생인 김도영이 올해 MVP를 받으면 타자 최연소 MVP 수상 기록을 갈아치울 수도 있다.
역대 최연소 타자 MVP는 1997년 10월 2일에 MVP를 받은 이승엽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이다.
이승엽 감독은 1976년 8월 18일생이고, 김도영은 2003년 10월 3일생이라서 김도영이 이 감독의 기록을 깰 가능성이 크다.
올해 MVP 시상식은 정규시즌이 끝나는 11월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만 21세 MVP 수상 기록은 김도영이 롤모델로 삼는 이종범 전 코치도 해내지 못한 대기록이다.
이종범 전 코치는 데뷔 2년 만인 1994년에 MVP를 받았으나 대학교를 졸업한 뒤 프로에 뛰어들어서 최연소 수상 기록과는 거리가 멀다.
투수와 타자를 통틀어서 최연소 MVP를 수상한 선수는 한화 이글스의 류현진이다.
1987년 3월 25일생인 류현진은 데뷔 첫해인 2006년 11월 2일에 정규시즌 MVP와 신인상을 석권했다. /연합뉴스
[진병두 마니아타임즈 기자/maniareport@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