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때, 중앙 통제실은 아직은 무사 착륙이 가능한 범위 안에 있다는 의미로 ‘in the ball park’라는 표현을 썼다.
‘in the ball park’를 직역하면, ‘야구장에’이다. 우주선이 야구장에 착륙하는 것도 아닌데 왜 이런 표현을 썼을까?
‘ball park’, 즉, 야구장과 관련한 관용구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a ball park figure’라는 게 있다. 글자 그대로 ‘야구장 숫자’다.
야구장에 들어온 관중 수를 말한다.
야구장에 들어온 관중 수를 정확하게 헤아리긴 쉽지 않다.
‘대충 몇 명 정도 된다’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나온 말이 바로 ‘a ball park’다. ‘대략적인 수치’라는 뜻이다.
이 표현은 주로 비즈니스를 할 때 사용된다. “Give me a ball park figure.” “대략적인 수치 좀 줘봐”로 해석할 수 있다.
“Do you have a ball park figure of the cost of the project?(대략적인 프로젝트 비용이 어느 정도지?”
결국, ‘in the ball park’는 ‘대충 그 범위 안에 있다’라는 의미다.
따라서, 우주선이 착륙하는 지점은 원 지정 장소 범위 내에 있다는 뜻이 된다.
따라서, “You’re probably in the ball park”는 “대충 계산이 맞는 것 같다”가 되는 것이다.
‘a ball park figure’와 비슷한 의미로 ‘rule of thumb’가 있는데, 이는 경험으로 검증된 일반적인 방법론을 이야기할 때 쓴다.
“As a rule of thumb, we use two cups of water for every cup of rice”는 “보통(대략), 우리는 쌀 한 컵에 물 두 컵을 넣는다”라는 의미다.
[장성훈 선임기자/seanmania2020@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