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인도네시아 경기 장면[스즈키컵 트위터 캡처]](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11216043009030265e8e9410871751248331.jpg&nmt=19)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15일 싱가포르의 비샨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0 아세안축구연맹(AFF) 스즈키컵 조별리그 B조 3차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두 팀 모두 2승 1무(승점 7)를 기록한 가운데, 골 득실에서 앞선 인도네시아(+6골)가 선두를 유지했고, 베트남은 2위에 자리했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에서 베트남(99위)이 인도네시아(166위)보다 순위가 많이 높고 실제 전력도 강하다. 따라서 이번 무승부는 신 감독이 사실상 전술적 승리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
박 감독과 신 감독이 동남아에서 대결을 펼친 것은 이번이 두 번째이다. 지난 6월 2022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에서 이뤄진 첫 맞대결에서는 베트남이 4-0 대승을 거둔 바 있다.
베트남은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와 19일 오후 9시 30분 조별리그 최종 4차전을 치른다.
베트남은 전반전 일방적으로 상대 진영을 몰아쳤다.
베트남의 전반전 공 점유율은 70.7%를 찍었다. 코너킥 횟수에서는 5-0, 슈팅 수에서는 9-1로 앞섰다.
하지만 유효슈팅은 단 1개만 기록했다. 응우옌 꽁 푸엉, 응우옌 꽝 하이, 판 반 득 등 공격수들이 인도네시아의 거친 두 줄 수비를 효과적으로 공략해내지 못했다.
인도네시아는 수비에 치중하면서도 K리그 안산 그리너스에서 뛰는 오른쪽 윙백 아스나위를 앞세워 간간이 공격을 시도했지만 좀처럼 하프라인을 넘지 못했다.
박 감독은 후반 시작과 함께 응우옌 꽁 푸엉 대신 공중볼 처리에 능한 응우옌 띠엔 린을 최전방 공격수로 투입했다.
하지만 전반 11분 응우옌 꽝 하이의 중거리슛은 수비수를 맞고 코너킥이 됐고, 15분 판 반 득의 왼발 중거리 슈팅은 골대 오른쪽으로 살짝 빗나갔다.
박 감독은 계속 공격적으로 교체 카드를 썼지만, 기대했던 골은 터지지 않았다.
인도네시아 선수들은 몸을 던지는 수비로 베트남의 강공을 막아냈다.
한편, 이날 경기에는 한국인 심판진이 배정돼 자연스럽게 한국말이 오가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