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4(토)

스포츠

[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567] 왜 ‘품새’라고 말할까

2021-11-30 11:48

태권도 품새 선보이는 외국인 태권 소녀. [연합뉴스 자료사진]
태권도 품새 선보이는 외국인 태권 소녀. [연합뉴스 자료사진]
품새는 태권도를 상징하는 핵심적인 전문용어이다. 태권도 기술을 일정한 양식에 맞춰 혼자 수련하는 방법을 품새라고 말한다. 세계태권도연맹(WT)은 품새라고 말하지만 국제태권도연맹(ITF)은 틀이라고 부른다. WT는 품새에 대한 정의를 좀더 철학적이며 의미론적으로 설명한다. WT에 의하면 품새는 옛 태권도 조상들의 오랜 세월과 귀중한 체험에 의하여 창조된 것으로서, 힘의강약, 기술의유강, 기의민감, 시선, 호흡법 등 수련상 나오는 다양하고 복잡한 것들을 과학적으로 종합, 연구, 고찰하여 정신의 완성을 수양키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태권도의 모체라고 설명한다. 국기원이 2019년 출간한 ‘태권도 용어 사전’에는 품새는 ‘태권도의 다양한 기술을 수련자 스스로 연마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짜놓은 모둠 기술이다. 방어와 공격의 주요 기술을 연결하여 구성되었으며 가상의 상대방을 대상으로 수련한다. 주로 유급자 품새와 유단자 품새를 가리킨다“고 풀이를 해놓았다. 하지만 품새는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려면 일련의 태권도 구성 동작이라고 보면 된다.

품새라는 말은 순 우리말이다. 행동을 뜻하는 고유어 ‘품’에다가 모양을 뜻하는 ‘새’가 붙어서 이룬 말로 태권도 용어가 아니더라도 원래 있는 말이다. 품새는 원래 일종의 정형화된 모양새를 뜻한다. 태권도 품새는 거의 대부분 일본 가라데의 ‘카타(型)’와 흡사하다는 말을 듣는다. 최홍희를 비롯해 초창기 태권도를 창시한 원로들이 일본에서 가라데를 전수받았기 때문이다. 품새라는 말도 일본식 한자어 ‘카타’의 의미를 차용해 순 우리말로 바꾼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태권도 품새는 무덕관, 지도관 등 각 관마다 서로 달랐다. 하지만 1972년 세계태권도 중심도장 국기원을 건립한 뒤 1978년 분산돼 있던 태권도 10개관을 하나로 통합한 뒤 공통된 품새를 갖추게 됐다.

한때 태권도계에서는 ‘품새’와 ‘품세’라는 두 명칭을 놓고 어느 쪽이 맞는 표현인지 갑론을박을 벌였다. 1987년 국기원은 한글학계의 자문을 구해 두 명칭 중에서 품새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는 태권도 내에서만의 일이었다. 한글에서 표준어는 여전히 품세라는 말로 썼다. 국기원은 2009년 9월 ‘태권도 기술 용어집’을 발간하면서 논란이 끊이질 않았던 ‘품세’와 ‘품새’ 중에서 ‘품새’를 쓰기로 결정했다. 국립국어원은 2011년 3월31일 품새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하지만 ‘품세’와 ‘품새’ 중 어느 것이 옳은 것이냐 하는 논란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어떤 말을 쓰는가에 따라 태권도의 본질과 정체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일부 태권도인들은 품새의 ‘새’는 생명감이 없고 고착화된 형태의 뜻이 담긴데 반해 품세의 ‘세(勢)’는 기품과 기세 등 형태적 변용과 생명력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품새’를 ‘품세’로 바로 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두 용어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는 것은 태권도 뿌리인 가라테와의 연관성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품세’를 지지하는 쪽은 가라테와의 정서적 거리를 두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는데 비해 ‘품새’를 선호하는 쪽은 가라테의 영향을 탈피한 태권도를 지향하는 쪽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두 단어 중 어느 단어를 선호하느냐에 따라 태권도를 보는 관점이 갈릴 수 있다는 것이다.

품새와 품세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계속 되지만 인터넷 등에선 어느 쪽으로 검색을 해도 모두 가능하다.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쇼!이슈

마니아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