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회말에 마운드 내려가는 엄상백. 사진[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2113293806081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구단이 거액의 몸값과 보상금, 보상 선수까지 내주며 영입한 외부 FA 선수들이 부진과 부상의 늪에 빠져 팬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있다.
지난 겨울 계약 총액 40억원 이상을 기록한 대형 FA는 총 7명. 이 중 최정(SSG 랜더스)과 김원중(롯데 자이언츠)을 제외한 5명이 팀을 옮겼다. kt wiz에서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엄상백과 심우준, 두산 베어스에서 kt wiz로 유니폼을 갈아입은 허경민, KIA 타이거즈에서 LG 트윈스로 적을 바꾼 장현식, LG에서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한 최원태가 그 주인공들이다.
하지만 이들 5명 중 기대에 부응하는 활약을 펼치는 선수는 한 명도 없으며, 최근에는 5명 모두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된 상태다.
계약기간 4년, 총액 78억원의 대형 계약을 맺고 한화 유니폼을 입은 선발 투수 엄상백은 올 시즌 8경기에 등판해 1승 4패, 평균자책점 6.68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6이닝 이상을 책임진 경기는 단 한 경기에 불과하고, 5회를 채우지 못하고 조기 강판당한 경기는 5차례나 됐다. 결국 엄상백은 지난 17일 1군에서 2군으로 내려갔다.
한화가 4년 50억원에 영입한 유격수 심우준의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그는 33경기에 출전해 타율 0.170, 1홈런, 9타점, OPS(출루율+장타율) 0.459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다 왼쪽 무릎 골절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했다.
![공 던지는 삼성 최원태. 사진[연합뉴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2113300601139dad9f33a29211213117128.jpg&nmt=19)
LG 트윈스와 4년 52억원에 계약한 핵심 불펜 장현식과 kt wiz와 4년 40억원에 계약한 주전 3루수 허경민도 상황은 비슷하다. 장현식은 개막 전 마무리 투수로 낙점됐으나 스프링캠프 기간 오른쪽 발등 인대가 파열되면서 뒤늦게 1군에 합류했고, 지난 13일에는 광배근 미세 손상 진단을 받아 다시 전력에서 제외됐다. 올 시즌 성적(15경기 1패 8세이브, 평균자책점 1.17)은 나쁘지 않았지만, 전반기에만 두 번이나 부상으로 이탈했다.
올해 26경기에서 타율 0.301을 기록한 허경민도 전력에서 사라졌다. 고질적인 허리 통증에 시달리던 그는 지난달 28일 왼쪽 허벅지 뒤 근육(햄스트링) 염좌 진단을 받았고 한 달 가까이 재활에 전념했다. 최근 퓨처스(2군)리그에서 복귀 준비를 하고 있지만, 1군 합류 시기는 미정이다.
외부에서 영입한 FA 선수들이 부진한 성적을 보이는 현상은 KBO리그에서 흔히 발생하는 일이다. FA 계약을 앞두고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 무리하게 뛴 여파가 이적 직후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목표 의식과 절실함이 사라져 무너지는 선수들도 적지 않다.
반면 원소속팀과 계약한 FA 선수들은 몸값에 어울리는 성적을 낼 가능성이 외부 FA보다 더 크다. 친정팀은 해당 선수의 몸 상태와 성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 적정한 몸값으로 계약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올해 롯데와 4년 총액 54억원에 계약한 김원중은 올 시즌 1승 13세이브, 평균자책점 1.27을 기록하며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진병두 마니아타임즈 기자/maniareport@naver.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