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 29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한국계 백진홍 입헌민주당 의원으로 부터 올림픽 개최와 관련된 질문을 받고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완전한 형태로 개최할 수 없다 생각한다”며 “선수나 관중 모두가 안심하고 참가할 수 있는 완전한 형태여야 한다. 도쿄 올림픽은 인류가 코로나19를 이겨낸 증거의 대회가 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대회 개최가 어렵다”고 밝혔다.
이런 아베 총리 발언을 두고 도쿄올림픽 취소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하며 도쿄올림픽 취소에 따른 여론의 추이를 보며 수순밟기에 들어갔다는 일부 시각도 있지만 이와 달리 도쿄올림픽 정상개최에 무게를 두고 일본 정부의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는 평가가 있는 등 서로 엇갈린 해석을 내놓고 있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가 되면서 천문학적인 추가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이를 일부 부담시키려는 고단수 술책이라는 말로 나온다.
IOC와의 비용 공동 부담에 대해서는 일단 성공한 것 처럼 보인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최근 도쿄올림픽의 1년 연기로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 상당부분 IOC에서 부담하겠다고 언급을 했기 때문이다. 아직 IOC와 일본정부가 추가 비용 부담 여부에 대해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어떤 형태로든 비용분담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 확실하다.
하지만 일본내에서 과연 1년 뒤에 도쿄올림픽이 정상개최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아베 총리와 절친한 요시다케 요코쿠라 일본 의사협회장이 "백신 없이는 내년 일본 올림픽 개최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자 일본 정부는 모리 요시로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이 직접 나서 "올림픽의 재연기나 중단은 없다. 무조건 2021년 개최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다시 30일에는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도쿄올림픽이 상업주의에 빠져 이권 투성이로 변질된 만큼 처음부터 재검토해야 한다"며 올림픽 취소에 힘을 실었다.
우선은 코로나19가 종식되는 것 처럼 보일지라도 다가오는 겨울이나 내년초에 다시 전세계적으로 유행할 수 있다는 국제적인 감염병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는 만큼 도쿄올림픽 정상개최 여부는 여전히 일본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논란거리로 계속 뉴스 지면을 장식할 것으로 보인다. .
[정자건 마니아리포트 기자/news@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