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금)

야구

'첫 韓日전 패배는 보약?' WBC 역사가 말해준다

2015-11-09 10:42

'이제첫경기일뿐이다'한국야구대표팀은8일일본과프리미어12개막전에서0-5영봉패를안으며불안하게출발했다.그러나아직조별리그4경기가더남아있어실망하기에는이르다.일본에설욕할기회도남아있다.(자료사진=윤성호기자)
'이제첫경기일뿐이다'한국야구대표팀은8일일본과프리미어12개막전에서0-5영봉패를안으며불안하게출발했다.그러나아직조별리그4경기가더남아있어실망하기에는이르다.일본에설욕할기회도남아있다.(자료사진=윤성호기자)
'영원한 라이벌' 일본에 영봉패를 안은 한국 야구. 국가대항전 '프리미어12'의 출발점에서 당한 완패로 대회를 불안하게 시작했다.

김인식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8일 일본 삿포로돔에서 열린 '2015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일본과 개막전에서 0-5로 졌다. 상대 21살 괴물 우완 오타니 쇼헤이에게 6회까지 삼진 10개를 당하며 무득점으로 끌려간 끝에 당한 패배였다.

'일본 킬러'인 한국 선발 김광현(SK)은 잇딴 불운 속에 2⅔이닝 5피안타 2실점(2자책)으로 패전을 안았다. 타선은 오타니가 물러난 이후에도 8회 1사 1,2루와 2사 만루, 9회 무사 만루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무기력한 영패를 면하지 못했다.

▲2006 WBC, 2번 이기고도 '4강전 눈물'
하지만 너무 부정적으로만 여길 필요는 없다. 또 다른 국가대항전이었던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사례를 보면 첫 한일전 패배를 당한 팀은 전화위복이 됐다. 다른 경기가 아닌 숙명의 한일전이었기에 반드시 되갚아주겠다는 의지가 다음 경기에 영향을 미쳤다.

2006년 초대 WBC 대회에서 한국은 일본을 두 번이나 물리쳤다. 당시 1라운드 첫 경기에서 한국은 1-2로 뒤진 8회 '국민 타자' 이승엽(삼성)의 결승 2점 홈런으로 극적인 3-2 역전승을 거뒀다. 이진영(LG)은 빨랫줄 홈 송구와 천금의 다이빙 캐치 등 호수비로 '국민 우익수'라는 영광의 칭호를 얻었다. 일본 야구의 심장 도쿄돔에서 거둔 승리였다.

2006년WBC일본과2라운드경기에서8회결승타를뽑아낸뒤기뻐하고있는이종범.(자료사진)
2006년WBC일본과2라운드경기에서8회결승타를뽑아낸뒤기뻐하고있는이종범.(자료사진)
2라운드 때도 한국은 일본을 통쾌하게 눌렀다. 미국 LA 에인절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한국은 0-0으로 맞선 8회 '바람의 아들' 이종범(현 MBC 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의 결승 2타점 2루타로 일본에 2-1로 이겼다. 스즈키 이치로(마이애미)의 '30년 무패' 발언을 통렬하게 두 번이나 무색하게 만들며 태극기를 마운드에 꽂았다.

그러나 이런 기분좋은 출발은 되레 불안감을 키웠다. 한 대회에서 세 번이나 같은 상대를 만나는 이상한 대진표도 문제였지만 두 번이나 한국에 당한 일본은 이를 갈았다. 한국과 4강전에서 일본은 6-0 완승을 거두며 설욕했다. 앞서 2경기를 이기고도 정작 중요한 경기에서 졌던 한국은 일본의 우승을 바라만 봐야 했다. 일본으로서는 한일전 패배가 약이 된 셈이었다.

▲2009년 콜드패 악몽 이후 멋진 설욕
2009년 WBC는 완전히 반대였다. 한국은 일본과 첫 경기에서 이번 프리미어12 이상의 굴욕적인 패배를 안았다. 그러나 이후 첫 경기의 아픔을 딛고 두 번이나 설욕에 성공, 멋지게 부활했다.

당시 1라운드에서 일본과 맞붙은 한국은 2-14 치욕적인 7회 콜드 게임 패배를 안았다. 선발 김광현이 1⅓이닝 8실점으로 무너졌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 4강전에서 8이닝 2실점했던 김광현은 일본의 현미경 분석에 당했다. 주무기 슬라이더가 완전히 간파당했다.

'국가가있어야야구도있다'2009년WBC준우승을이끈김인식대표팀감독이당시출정식에서출사표를던지는모습.(자료사진)
'국가가있어야야구도있다'2009년WBC준우승을이끈김인식대표팀감독이당시출정식에서출사표를던지는모습.(자료사진)
하지만 이 대패는 약이 됐다. 이후 독이 오른 한국은 일본에 패배를 되갚았다. 1라운드 순위 결정전에서 한국은 선발 근(LG)이 5⅓이닝 무실점 역투를 펼치며 1-0으로 이겨 조 1위에 올랐다. 봉중근은 특히 잇따라 날카로운 견제로 이치로의 혼을 빼놓으며 1회 대회 '배열사' 배영수(한화)에 이어 '봉열사'라는 별칭를 얻었다.

미국으로 넘어간 2라운드 경기에서도 한국은 일본을 눌렀다. 봉중근이 5⅓이닝 1실점으로 다시금 역투를 선보였고, 타선은 당시 일본 에이스 다르빗슈 유(텍사스)를 상대로 1회만 3점을 뽑아내 4-1 승리를 견인했다. 콜드패가 값진 경험이 됐던 셈이었다. 비록 결승에서 일본에 연장 끝에 졌지만 한국은 치열한 접전 끝에 준우승이라는 성과를 얻었고, 야구 강국의 위상을 드높였다.

6년이 지난 이번 프리미어12도 비슷한 양상이다. 첫 일본과 경기에서 김광현이 조기 강판했고, 타선 침체 속에 완패를 안았다. 하지만 설욕의 기회는 남아 있다. 조별리그와 8강전을 통과하면 향후 성적에 따라 일본과 4강전, 또는 결승전(3-4위 전)에서 맞붙을 수 있다.

역사는 첫 한일전 패배가 곧 대회 전체의 실패를 의미하는 게 아니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과연 이번 프리미어12에서 한일전의 역사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airjr@cbs.co.kr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쇼!이슈

마니아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