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 점에 있어서 각 구단에서 ‘키 맨’으로 손꼽은 선수들의 활약 또한 기대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선수들 중에는 군 복무 이후 기량이 급성장하여 팀에 복귀한 선수들도 있고, 보직 변경을 통하여 또 다른 성공을 꿈꾸는 선수도 있다. 그 중 두산의 ‘키 맨’으로 뽑을 수 있는 두 선수는 대부분 ‘후자’에 속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끈다. 마무리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두 기대주, 윤명준과 변진수가 그 주인공이다.
학창시절로 돌아본 윤명준/변진수에 대한 평가
일단, 현재까지는 윤명준이 마무리 후보에서 가장 앞서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그러나 시즌 시작 이후에도 변수는 발생할 수 있고, 두 이가 아닌 ‘제3의 후보’가 마무리로 낙점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두산은 짧은 시간 내에 마무리 투수에 대한 공백을 최소화시키며 대체 전력을 찾는 데 열심이었던 구단 중 하나였다. 하지만, 두 기대주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은 그만큼 1군 무대에서 어느 정도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사실 때문일 것이다.
동성고-고려대를 거쳐 2012 신인지명 회의에서 두산에 1라운드 지명을 받았던 윤명준은 사실 고교 시절 때에도 꽤 많은 주목을 받았던 유망주였다. 그도 그럴 것이 2년 선배 한기주, 1년 선배 양현종의 계보를 이으며, 당시 모교의 황금사자기 4강행을 이끌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에이스다운 모습을 1년 내내 유지했다면, 그의 프로행도 조금 더 빨라질 수 있었다. 그러나 황금사자기 대회 이후 구속이 떨어지면서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도 멀어졌고, 결국 그는 고려대 진학을 선택했다. 다행히 고려대 재학 시절에는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했던 2학년 때를 제외하곤 꾸준히 제 몫을 다 했다. 당시 최고 구속은 145km까지 측정됐지만, 프로 입문 이후에는 조금 더 노련해졌다는 평가다. 고교/대학 때 모습만 놓고 보면, 선발로 제 몫을 다 할 수 있는 재원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용찬의 공백으로 생긴 마무리 자리를 메울 수 있는 후보로도 손색이 없다.
윤명준과 같은 해에 입단한 변진수는 고졸 유망주로 두산에 2라운드 지명을 받았다. 2학년 때부터 실전에 투입되며 일찌감치 프로 스카우트 팀의 주목을 받았던 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3학년 진학 이후에는 거의 혼자 충암고 마운드를 이끌었고, 그 해 열린 황금사자기 대회에서는 5경기 모두 완투쇼를 펼치며 ‘초대 주말리그 왕중왕전 MVP’에 오르기도 했다. 그만큼 스터프가 강했고, 연투를 해도 이상 징후가 발견되지 않을 만큼 고무팔을 자랑했다. 입단 이후에는 경기당 평균 1이닝 정도를 책임져 주는 미들맨 역할에 충실했고, 지난해까지 딱 100경기에 출장하여 6승 1패 1세이브, 11홀드(평균자책점 3.91)를 기록했다. 던지는 순간 느껴지는 임펙트는 넥센의 한현희 못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이들도 많다.
이렇듯 두 기대주는 올 시즌 소속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일단, 학창 시절에 보여 왔던 각자의 잠재 능력만 놓고 본다면, 이제는 또 다른 방향으로 그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두 기대주를 향한 두산 김태형 감독의 실험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된다.
[eugenephil@daum.net]
▶ 앱으로 만나는 마니아리포트 '골프N' [안드로이드] [아이폰]
▶ 부킹 정보를 한 눈에 ☞ 마니아리포트 부킹 게시판 바로가기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