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편, 일본에 2차 캠프를 차린 구단 중 일부는 이미 NPB 프로팀과 연습 경기를 펼치기도 했다. 이른바 오프시즌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오키나와 리그’가 절정에 다다른 셈이다. 경기 결과에 대한 소식이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있지만, 사실 주축 선수들을 100% 가동하지 않은 상황에서 승패는 큰 의미가 없는 셈이다. 양 팀 모두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대부분 테스트 차원에서 경기 내용 자체를 보익 때문이다. 어쨌든 양국가 간 교류전을 통하여 내년 모습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은 오프시즌의 또 다른 재미인 셈이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해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한 한화 이글스 역시 누구보다도 바쁜 오프시즌을 보내야 했다. 신임 대표이사로 그룹사 회장 비서실장 출신의 김충범 사장이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감독과 코치, 그리고 선수단까지 모두 재정비됐다. 이는 ‘10구단 체제하에서는 절대 최하위를 기록할 수 없다.’라는 절박함이 만들어 낸 결과였다. 이 때문인지, 오프시즌에서 한화는 그 어떠한 구단보다 많은 뉴스거리를 만들어내면서 일단 구단 외부적으로 이미지 혁신에는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위권 전력’ 한화의 2015시즌 키 맨은?
일단 한화는 지난 2년간 선수 영입에 있어서 자본 지출을 아까워하지 않았다. 이용규-정근우 듀오가 유니폼을 갈아입었던 것은 서막에 불과했을 뿐, 올해에는 투수 3명을 FA 시장에서 사오며 ‘화끈한 투자’를 선보였다. 배영수와 송은범, 권혁 등은 모두 나름의 약점이 있지만, 적어도 ‘앞에서 이끌어 줘야 하는 중견급 선수들이 없다.’라는 기존의 평가를 보기 좋게 뒤집는 결과라는 사실을 주목해 봐야 한다. 또한, 신인지명 회의 이후에도 신고 선수 영입도 꾸준히 이어가며, 3군을 활성화하는 데에도 인색하지 않았다.
하지만, 세 선수의 영입이 포스트시즌 진출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지금 전력이 ‘이제 타 구단과 해 볼 만하다.’라는 수준에 올랐을 뿐이다. 따라서 마운드의 키 맨은 아무래도 젊은 선수들 중에서 나와야 한다. 이러한 점을 두루 살펴 보았을 때, ‘오른손의 류현진’이라는 평가를 받는 김민우가 한화 마운드의 키 맨이 될 전망이다. 건장한 체구를 바탕으로 힘 있는 공을 던진다는 점에서 류현진의 동산고 시절과 닮은 부분이 있다. 특히, 지난해 KT가 우선 지명권을 주권/홍성무에게 행사하면서 노재덕 단장과 정영기 스카우트 팀장은 김민우를 ‘우리 구단 선수’로 생각하며 경기가 있을 때마다 더욱 주목해서 봤다고 한다. 김민우에 대한 김성근 감독의 평가도 크게 나쁘지 않아 그가 이번 시즌 1군 풀타임을 뛸 가능성은 충분하다.
타선의 키 맨은 단연 외국인 선수 나이저 모건이다. 지난해 좋은 성적을 거두고도 연봉 총액에서 의견 차이를 보이면서 재계약에 실패한 펠릭스 피에만큼 해 줘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일본 프로야구를 경험하였다는 점에서 한국 적응 문제는 크게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재미있는 것은 메이저리그에서 ‘악동’이라는 말을 듣던 그가 ‘원리원칙주의자’인 김성근 감독을 만나 묘한 조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두 팔로 T자를 만드는 세레머니’로도 유명한 모건이 한화 이글스와 좋은 궁합을 형성할지 지켜보는 것도 자못 흥미로울 것이다. 모건 외에도 김성근 감독이 점찍은 기대주, 김회성의 활약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eugenephil@daum.net]
▶ 앱으로 만나는 마니아리포트 '골프N' [안드로이드] [아이폰]
▶ 부킹 정보를 한 눈에 ☞ 마니아리포트 부킹 게시판 바로가기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