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토)

야구

'+16의 변수' 어느 팀이 유리하고 불리할까

2015-01-11 11:41

'역사적인144경기시대의승자는?'올해프로야구는지난해보다무려16경기가늘어난시즌이변수로작용할전망이다.각팀사령탑의경험과용병술이최대관건이될것으로보인다.(자료사진=윤성호기자)
'역사적인144경기시대의승자는?'올해프로야구는지난해보다무려16경기가늘어난시즌이변수로작용할전망이다.각팀사령탑의경험과용병술이최대관건이될것으로보인다.(자료사진=윤성호기자)
사상 첫 10구단 체제로 진행될 2015년 프로야구. 신생팀 kt의 가세로 2년 동안 불균형을 이룬 9구단 체제가 막을 내린다.

가장 큰 변화는 경기 수 확대다. 지난 2년 동안 팀당 128경기에서 16경기 많은 144경기로 확 는다. 12.5%가 증가한 수치다. 지금까지 프로야구 출범 뒤 가장 경기가 많았던 133경기(2000~04, 2009~2012년)보다도 11경기가 많다.

늘어난 경기는 과연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어느 팀이 경기 수 확대의 혜택과 피해를 입을까.

가장 쉽게는 선수층이 두터운 팀이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경기가 늘어난 만큼 체력 부담과 부상 변수가 많아질 것은 자명하다. 그렇다면 주전 외 백업이 두꺼운 팀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 4년 연속 통합 우승을 일군 삼성을 비롯해 LG, 두산, SK 등의 득세가 예상되는 이유다.

반대로 선수층이 상대적으로 얇은 팀은 부담이 간다. 신생팀 kt와 롯데, KIA, NC등이다. 주전 의존도가 가장 높은 넥센도 지난해 한국시리즈(KS) 준우승 이상의 성적을 내려면 똘똘한 백업 만들기가 과제다. 최근 3년 간 최하위였던 한화는 대대적인 선수 보강을 이뤄 다크호스로 꼽힌다.

▲늘어난 경기만큼 감독 용병술이 중요하다
여기에 감독의 용병술도 144경기 시대의 판도를 좌우할 요인으로 거론된다. +16경기 변수에 대처할 경험과 성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주전 의존도와 백업 활용도가 관건이 될 수 있다. 더 길어진 레이스인 만큼 주전들에 기대는 팀은 자칫 부상이 온다면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 주전 못지 않은 백업이 갖춰진 팀들은 슬기롭게 고비를 넘길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태균아,너도벤치에있을수있다'용병술의귀재김성근감독(왼쪽)이부임한한화는스토브리그전력보강까지이루면서올해다크호스로꼽힌다.사진은지난해10월김감독이취임식에서주장김태균과악수하는모습.(자료사진=박종민기자)
'태균아,너도벤치에있을수있다'용병술의귀재김성근감독(왼쪽)이부임한한화는스토브리그전력보강까지이루면서올해다크호스로꼽힌다.사진은지난해10월김감독이취임식에서주장김태균과악수하는모습.(자료사진=박종민기자)
그런 면에서 한화의 약진이 기대된다. '용병술의 귀재' 김성근 감독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2007년 SK 시절이다. 김 감독의 부임 첫해 통합 우승을 차지한 SK는 그해 타점, 득점, 안타 등 공격 주요 부문 10위 안에 든 선수가 없었다. 정규리그 1위를 하는 동안 특정 선수들에 몰리는 기회를 최대한 많은 선수들에게 배분했다는 뜻이다. 일본 야구의 영향을 깊이 받는 김 감독은 이른바 '플래툰 시스템'으로 정평이 나 있다.

허구연 MBC 해설위원은 "김 감독은 적재적소에 선수들을 넣었다 뺐다 하는 기용을 자유자재로 한다"면서 "경기 수가 늘어난 만큼 이는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이런 과정에서 김 감독의 선수단 장악력은 더 높아져 성적도 5강 이상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팀들도 마찬가지다. 허 위원은 "길어진 시즌에서는 감독의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새롭게 팀을 맡은 감독들이 얼마나 선수단 파악을 빨리 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airjr@cbs.co.kr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쇼!이슈

마니아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