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가운데, 전임 감독의 계약 만료로 인하여 신임 사령탑을 선임해야 하는 SK와 KIA가 서로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KIA가 선동열 감독과의 2년 재계약을 서두른 데 비해 SK는 팀을 잘 아는 인사로 명망이 높았던 김용희 육성총괄 책임자를 신임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여기에 기존 송일수 감독에게 1년의 기회를 더 부여할 것으로 알려졌던 두산도 갑작스럽게 사령탑을 교체하며 부랴부랴 팀 컬러 찾기에 나섰다. 프랜차이즈 포수 출신의 김태형 전 SK 코치가 그 주인공이었다. 생각보다 일찍 사령탑을 선임한 세 팀은 누구보다도 빨리 내년을 준비할 수 있게 됐다. 다만, 롯데와 한화는 여전히 신임 사령탑에 대한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다.
감독 교체를 준비하는 각 팀의 ‘천태만상’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 한 가지를 발견할 수 있다. 팀마다 사령탑을 교체하는 방법과 그 안에서 드러난 특징이 하나같이 다르다는 점이다. 다원주의가 존중되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겠지만, 어떠한 구단은 칭찬을 받기도 하고, 혹자는 냉대를 받기도 한다. 그리고 그것은 어쩔 수 없는 각 구단의 숙명일 것이다.
기존 사령탑 재신임이라는 파격적인 선택을 한 KIA는 선동열 감독에게 2년이라는 시간을 더 줬다. 물론 지난 3년간의 KIA 성적을 감안한다면, 선동열 감독을 다시 끌고 가기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현역 시절의 최 전성기를 고향인 광주에서 보냈다는 점, 그 안에서 ‘국보급 투수’로 명성을 떨쳤다는 부분까지 무시할 수는 없었던 듯하다. 이름하여 ‘미워도 다시 한 번’ 유형이라 볼 수 있다. 또 다른 이름을 붙이자면, ‘또 한 번 믿어 주(으)리’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다.
SK의 경우, 기존 이만수 감독의 계약 기간이 종료되면서 자연스럽게 후임 감독 선임 작업에 임할 수 있었던 케이스다. 그리고 그들의 선택은 시즌 후반부터 가장 강력한 사령탑 후보로 물망에 올랐던 김용희 전 삼성 감독이었다. 어찌 보면, 자신들이 약속한 계약 기간을 모두 지켜주면서도 가장 자연스럽게 감독 교체 과정을 밟았던 셈이다. 여기에 이례적으로 전임 감독에 대한 이임식도 같이 시행하기로 했다. 이름하여 ‘아름다운 이별’ 유형이라 볼 수 있다.
두산은 예상 외로 송일수 전임 감독을 1년 만에 경질하는 행보를 보였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해까지만 해도 김진욱 감독의 후임으로 갑작스럽게 송 감독을 선임하면서 3년이라는 기간을 보장해 준 바 있다. 그리고 당시 송 감독과 함께 가장 유력 인사로 손꼽혔던 것이 (아이러니하게도) 김태형 현 신임 감독이었다. 그러한 김 감독을 1년 만에 다시 어렵게 ‘모셔 온’ 것이다. 김태형 신임 사령탑은 김경문-김진욱 전임 감독과 마찬가지로 OB-두산을 거쳐 프랜차이즈 스타로 팀을 이끌었다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다. 두산으로써는 앞선 두 명의 김씨 감독에 이어 김태형 감독까지 성공할 수 있기를 바라는 눈치다. 다만, 이러한 행보가 지난해 먼저 이루어졌어야 했다. 두산으로서는 안타까운 1년을 그대로 허비한 셈이다. 이름하여 ‘사람이 미래라는데 왜 이제야 데려오나 이 사람아!’ 유형이라 볼 수 있다.
남은 롯데와 한화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신임 사령탑 최종 선임까지는 조금 더 많은 시간이 걸릴 듯하다. 두 구단 모두 신임 감독 선임에 대해 ‘이름도 몰라요 성도 몰라’ 유형으로 이름지을 수 있다.
[eugenephil@daum.net]
▶ 앱으로 만나는 마니아리포트 '골프N' [안드로이드] [아이폰]
▶ 부킹 정보를 한 눈에 ☞ 마니아리포트 부킹 게시판 바로가기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