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10번째 심장, 신생구단 KT 위즈의 경우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구단보다 더 바쁘게 움직일 수밖에 없다. 프런트 구성과 사령탑 선임이 이루어졌다고는 하나, 선수단과 코칭스태프 구성까지 100% 완료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경기를 치를 수 있는 기본 선수 숫자가 부족하다 보니, 이들을 직접 선발하는 스카우트팀은 막중한 책임감을 지닐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각종 고교/대학야구 무대에서 부지런히 움직이는 KT 스카우트팀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KT 위즈를 이끄는 두 버팀목, ‘조-조 브라더스’
재미있는 것은 KT 위즈의 안팎을 책임지는 이들의 인연이다. KT의 초대 사령탑으로 선임된 조범현 감독을 비롯하여 스카우트팀에서 선수 발굴에 힘쓰고 있는 조찬관 스카우트 팀장이 그 주인공이다. 조 감독이 코칭스태프와 선수단 구성 이후 팀의 내부 결속을 책임지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면, 조 팀장은 팀 외부에서 좋은 인재들을 끌어 모아 팀 전력 극대화에 힘을 써야 한다. 그런데 두 사람의 인연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지난 2009시즌, KIA 타이거즈의 우승 뒤에 두 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조범현 감독은 ‘야신’ 김성근 감독이 버티고 있던 SK 와이번스와 7차전까지 가는 접전을 펼친 끝에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고, 팀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두 외국인 투수, 아퀼리노 로페즈와 릭 구톰슨을 뽑은 이는 다름 아닌 조찬관 팀장이었다. 그렇게 찰떡궁합을 과시했던 두 이는 조범현 감독이 지난 2011시즌을 끝으로 팀을 떠나면서 인연이 끊어지는 듯싶었다.
그러나 KT 창단과 함께 조찬관 팀장이 스카우트 팀에 먼저 합류하면서 상황은 변하기 시작했다. KIA 시절에도 ‘외국인 선수 스카우트 성공률 100%’를 자랑했던 조 팀장은 남다른 안목으로 좋은 신인들을 발굴하는 데에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바 있었다. 장래성이라는 측면에서 1차 우선지명권 3장을 모두 고졸 투수를 선발하는 데 사용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이렇게 선수 선발이 단계별로 이루어지면서 KT 역시 초대 사령탑으로 조범현 감독을 선임하면서 본격적으로 내년 시즌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2009시즌, KIA를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던 두 주역이 다시 한솥밥을 먹게 된 셈이었다.
이에 대해 조찬관 팀장은 “보통 인연은 아닌 것 같다. 말 그대로 ‘조-조 브라더스’가 탄생한 것 아니겠느냐. 나로서는 영광이다.”라며, 같은 성을 쓰고 있는 조범현 감독에 대한 특별한 인연에 함박웃음을 짓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오는 26일로 다가올 신인지명회의에서 좋은 선수들을 조기에 선발하기 위해 스톱워치와 스피드건을 양손에 쥔 채로 그라운드 안팎을 누비는 일 또한 잊지 않았다.
조 팀장과 마찬가지로 조범현 감독 역시 ‘숨은 인재 발굴’을 위해 발품을 파는 데 인색하지 않는 이다. 야인 시절에도 인스트럭터 자격으로 전국의 학교를 순회하며 ‘원 포인트 레슨’을 시행한 바 있으며, 감독 취임 이후에도 KBO에서 주최한 트라이아웃(공개 테스트)에 모습을 드러내며 높은 관심을 드러내 보이기도 했다. 이렇듯, 2015년 1군 진입을 위해 애를 쓰는 KT 위즈에는 구단 안팎에서 제 몫을 다 하는 환상의 콤비, ‘조-조 브라더스’가 있다.
[eugenephil@daum.net]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