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수)

축구

韓 야구소년들의 당부 "우승, 한번으로 안 끝내려면…"

2014-09-01 17:50

29년만에리틀야구월드시리즈에서우승을차지한대한한국리틀야구대표팀이1일오전서울장충동리틀야구장에서기자회견을갖고취재진을향해포즈를취하고있다.뒷줄왼쪽이박종욱감독.(황진환기자)
29년만에리틀야구월드시리즈에서우승을차지한대한한국리틀야구대표팀이1일오전서울장충동리틀야구장에서기자회견을갖고취재진을향해포즈를취하고있다.뒷줄왼쪽이박종욱감독.(황진환기자)
"(29년 만에 우승)을 한 번으로 끝내지 않으려면…."

'2014 리틀야구 월드시리즈' 한국 대표팀의 우승 기자회견이 열린 1일 서울 장충동 리틀야구장. 박종욱 감독의 당부에는 간절함이 담겨 있었다.

박 감독이 지휘한 대표팀은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2014 리틀야구 월드시리즈'에서 우승을 거뒀다. 지난 1984, 85년 이후 29년 만에 이룬 쾌거. 열악한 국내 환경을 생각한다면 기적에 가깝다는 평가다.

국내 리틀야구 팀은 150여 개. 미국의 2만여 팀, 일본의 2000여 팀에 비교가 되지 않는다. 리틀야구 전문 구장 수가 적어 경기 일정 잡는 것마저 쉽지 않은 게 우리 현실이다. 수도권에는 장충동 리틀 야구장을 제외하면 사실상 제대로 된 경기장도 없다는 게 박 감독의 설명이다.

그렇다고 당장 환경이 바뀌기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박 감독은 "운동장은 하루이틀 얘기도 아니고 우리 여건상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다만 바람이 있다면 화성 시에 야구장 6면을 짓기로 결정됐는데, 수도권에 장충 비슷한 구장이 한두 개만 더 있어도 좋겠다"고 밝혔다.

구장 수뿐만 아니라 잔디 상태 역시 달랐다. 국내보다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은 있었지만 미국 본토는 상상 이상이었다. 그는 "아이들뿐 아니라 나조차도 천연 잔디를 밟은 것은 처음이었다"면서 "타구 스피드가 다르더라. 공이 너무 빨라서 적응하는 게 쉽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구조적인 문제는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꾸준한 관심과 정부의 지원이 간절하다. 미국에서 가장 놀란 것은 경기장 시설이 아니라 리틀야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었기 때문이다.

박 감독은 "취재진 열기도 대단했고, 또 지원하는 관계자들의 배려가 남달랐다"고 고백했다. 주장 황재영 역시 경기 후 "사인을 받으러 오는 분들도 계셔서 너무 놀랐고, 이런 분위기가 낯설었다"고 고백했다. 이어 "더 잘해야겠다는 힘이 됐다"고 덧붙였다.

리틀야구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세계 대회 경험이 일회성이 아니라 꾸준하게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박 감독은 "내년에도 월드시리즈에 출전해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이 이런 분위기를 경험할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가장 필요한 것이 지속적인 국민들의 관심과 정부의 지원"이라고 꼽았다.

이어 "우승까지는 아니어도 참가라도 계속 할 수 있다면 한국 리틀야구의 수준이 더 높아질 것"이라면서 "국가 교류전을 하는 데도 국가에서 조금만 지원해준다면 부모님도 아이들도 수월할 것이고, 좋은 성적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영관 회장도 "우리 선수들의 월드시리즈 우승이 대견하고 자랑스럽다. 우승이 단발성으로 그치지 않고 계속 (월드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을 부탁한다"고 바랐다.CBS노컷뉴스 유연석 기자 yooys@cbs.co.kr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쇼!이슈

마니아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