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 투수 김재윤은 올 시즌 37경기에 등판해 32.0이닝을 소화하며 5홀드 3세이브 평균자책점 6.75를 기록 중이다. 야구 통계 사이트 스탯티즈 기준 구원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은 -0.35를 찍었다. 1군 데뷔 후 WAR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김재윤은 지난 2024시즌을 앞두고 불펜 보강을 위해 4년 58억원의 FA 계약으로 KT위즈에서 삼성으로 둥지를 옮겼다. 이적 첫 해에는 65경기에서 66이닝을 던지며 11홀드 25세이브 평균자책점 4.09로 준수한 퍼포먼스를 펼쳤다. KT 시절에 비해서는 다소 아쉬운 수준이었지만, 불펜 가뭄에 시달리던 삼성에게는 믿음직한 필승조 역할을 해냈다. 이에 힘입어 삼성은 지난 시즌 한국시리즈 무대를 밟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데뷔 이후 최악의 침체에 빠진 것이 올 시즌이다. 마무리로 시즌을 개막한 김재윤이지만 계속된 부진으로 마무리 자리를 이호성에게 물려주게 됐다. 중간 계투로 역할을 바꾼 후에도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작년 0.232에 머물렀던 김재윤의 피안타율은 올해 0.278까지 상승했다. 9이닝당 볼넷은 3.41개에서 1.69개로 대폭 줄어들며 제구 면에서는 안정성이 늘었지만, 구위 하락으로 피안타와 피장타 허용이 증가했다. 피OPS는 0.832에 이른다. 올 시즌 규정타석을 채운 타자 중 이와 유사한 성적을 올리고 있는 선수로는 키움 히어로즈 송성문(OPS 0.829)이 있다. 올 시즌 김재윤을 상대하는 타자들은 평균적으로 송성문과 비슷한 수준의 활약을 보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김재윤이 올 시즌 기록하고 있는 IRS%(승계 주자 실점률)는 60%에 달한다. 김재윤의 커리어 통산 IRS%는 28.5%, 올 시즌 리그 평균 IRS%가 35% 수준임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승계주자 실점률을 보이고 있다.

포심의 평균 구속은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작년 141.9km/h로 커리어 최저를 기록했지만, 올해는 144km/h를 기록하며 구속을 회복했다. 하지만 커리어 평균 포심의 구종 가치 8.6을 기록하며 묵직한 구위를 자랑하던 포심 패스트볼이 올 시즌 -3.1의 구종 가치를 보이고 있다. 포심의 피안타율은 0.303에 이르며, 특히 피장타율은 0.652에 달한다. 직구를 타자들이 공략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맞으면 장타가 될 확률도 높아졌다. 주특기가 타자들을 제압하는 데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시즌 초반 좋은 흐름을 이어가며 상위권에 위치했던 삼성은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8위로 전반기를 마무리했다. 역대급 순위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올 시즌, 삼성은 5위 KT와 2.5경기차로 벌어져 있다. 후반기 상승세를 탄다면 충분히 가을야구 진출 그 이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위치다.
시즌 내내 좋은 전력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불펜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하던 삼성이다. 김재윤이 후반기에는 좋은 활약을 보여줄 수 있을지가 삼성의 남은 시즌 성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장성훈 선임기자/seanmania2020@maniareport.com]
<저작권자 © 마니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